라가스토리

리더십과 브랜드 전략, 그리고 소소한 일상 루틴까지. 지식과 삶이 만나는 곳, 라가스토리입니다.

  • 2025. 3. 13.

    by. 라가노트

    목차

      말하지 않아도 흐름을 만드는 리더,

      관계 안에서 움직이는 팀을 위하여

       

      서번트 리더십 요약 카드북 (슬라이드용 16:9 텍스트 버전)


      1. 이름을 기억하는 리더는 관계를 시작한다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존재를 존중하는 리더의 첫 행동은 ‘호명’
      • 심리적 안전감은 작은 호칭에서 시작
      • 관계는 ‘기억’에서 시작된다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이름을 불렀다는 건,
      그 사람을 리더십 안으로 초대한 것이다.”


      2. 조용한 리더가 팀을 변화시키는 순간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침묵은 무관심이 아니라 감각이다
      • 말 없이 분위기를 정돈하는 리더
      • 조용한 개입이 팀의 흐름을 바꾼다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조용한 리더십은
      존재만으로 흐름을 만드는 방식이다.”


      3. 리더는 먼저 말하지 않는다, 먼저 들어줄 뿐이다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경청은 리액션이 아닌 공간 설계
      • 여백을 남기는 리더는 신뢰를 얻는다
      • “기다릴게요”는 감정 조율의 언어다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말하지 않는 리더는
      듣기 위한 여백을 만들어낸다.”


      4. 반복되는 행동: 경청, 지지, 조율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경청은 말할 수 있는 타이밍을 주는 것
      • 지지는 동의가 아니라 옆에 있는 태도
      • 조율은 팀 에너지의 리듬을 맞추는 일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리더십은 반복된 행동의 패턴으로 기억된다.”


      5. 리더십은 위에서 주는 게 아니라, 관계에서 만들어진다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직책보다 접촉, 권위보다 거리감 해소
      • 관계 기반 리더는 자리를 비워도 팀이 움직인다
      • 리더십은 함께 있는 방식에서 자란다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누가 위에 있느냐보다,
      누가 곁에 있느냐가 중요하다.”


      6. 감정을 다룰 줄 아는 리더의 피드백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피드백은 지적이 아니라 회복의 설계
      • 감정을 감싸고 방향을 안내하는 구조
      • 말보다 말투가 더 오래 남는다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리더는 피드백하지 않는다.
      받아들이게 만든다.”


      7. 서번트형 vs 거래형 – 리더십의 갈림길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거래형: 조건 → 성과 → 통제
      • 서번트형: 관계 → 신뢰 → 몰입
      • 팀은 리더의 선택을 따라 움직인다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거래형은 리더가 있을 때만 움직이고,
      서번트형은 없어도 움직인다.”


      8. 실수를 반복하는 팀원에게 던져야 할 질문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실수보다 반복의 이유를 살펴야 한다
      • 감정 회복이 다음 행동의 전환점
      • "왜?"보다 "무슨 일이 있었어요?"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실수는 지적의 대상이 아니라,
      회복의 기회를 여는 질문으로 시작된다.”


      9. 팀장이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리더십 질문

       키포인트

      • 자기 질문은 리더십의 조율 도구
      • 오늘의 행동보다 오늘의 성찰이 중요
      • 말투, 감정, 침묵까지 점검하라

       핵심 문장
      “질문하는 리더는
      리더십을 설계하는 사람이다.”

       

      실천 도구 ①

      통합 워크시트 – 나의 서번트 리더십 설계서

      1. 나는 어떤 리더로 기억되고 싶은가요?
      → 예: 말하지 않아도 신뢰를 주는 사람

      2. 지금 어떤 방식으로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나요?

      • □ 말을 줄이고 먼저 들으려고 한다
      • □ 팀원의 이름을 자주 부른다
      • □ 회의보단 분위기 정돈을 우선한다
      • □ 실수에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려 노력한다

      3. 가장 어려워하는 리더의 태도는 무엇인가요?
      → 예: 침묵 유지 / 감정 피드백 / 팀 분위기 읽기

      4. 앞으로 실천할 서번트형 루틴 3가지
      → ① ______________________
      → ② ______________________
      → ③ ______________________


       실천 도구 ②

      1주일 리더십 행동 체크표

      항목
      팀원 이름 먼저 불렀는가
      감정 기반 피드백을 했는가
      회의 중 조용한 팀원을 관찰했는가
      실수에 즉각 반응하지 않았는가
      팀 분위기를 정돈하려고 했는가

      → 5일 중 3일 이상 체크되면,
      관계 기반 리더십이 작동 중입니다.


       실천 도구 ③

      자기 피드백 카드 – 리더의 1문장 일기

      ① 이번 주, 내가 가장 잘한 리더 행동은?
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      ② 이번 주, 가장 후회되는 말 한마디는?
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      ③ 다음 주에 바꿔보고 싶은 리더의 습관은?
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       

      이 시리즈는
      ‘말로 설득하는 리더’보다
      ‘말 없이도 팀을 움직이는 리더’를 위한 여정이었습니다.


      서번트형 리더는
      지시보다 감지하고,
      정리보다 회복을 선택
      합니다.

      그 태도는 말투에서,
      호명에서,
      침묵의 타이밍에서,
      질문의 방향에서 드러납니다.

       

      당신의 리더십은 오늘, 어떤 감정으로 남았나요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