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가스토리

리더십과 브랜드 전략, 그리고 소소한 일상 루틴까지. 지식과 삶이 만나는 곳, 라가스토리입니다.

  • 2025. 3. 19.

    by. 라가노트

    목차


      크게 말하지 않아도, 팀의 방향을 남긴 사람


      1. [요약 카드북 – 변혁형 리더십 핵심 (16:9 슬라이드용) ]

      슬라이드 ①

      [변1] 팀이 “같은 꿈”을 꿀 수 있을까?
      → 비전은 보여주는 게 아니라, 함께 그리는 감정이다

      • 목표는 있었지만 연결감은 부족했다
      • 방향은 있었지만 몰입은 따라오지 않았다
      • 비전은 공감과 스토리로 설계되어야 한다

      슬라이드 ②

      [변2]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 팀을 어떻게 이끌까?
      → 변화는 강요가 아닌 감정 설득으로 열린다

      • 변화보다 먼저 안정감을 설계해야 한다
      • 팀의 불안을 인정하고 함께 탐색해야 한다
      • 감정적 저항을 정서적 언어로 풀어내야 한다

      슬라이드 ③

      [변3] 비전은 반복이 아니라 갱신되어야 한다
      → 말이 아닌 경험으로 비전을 설계하라

      • 같은 말을 반복해도 감정이 다르면 새롭다
      • 비전을 스토리로 각색하고, 팀 언어로 바꾸어야 한다
      • 리더는 비전을 말하는 사람이 아니라, 새롭게 보여주는 사람이다

      슬라이드 ④

      [변4] 설득이 아닌 ‘몰입’을 끌어내는 리더 전략
      → 사람은 논리에 설득되지 않고, 감정으로 몰입된다

      • 설명보다 몰입의 공간을 먼저 설계하라
      • 참여는 설득보다 빠르게 에너지를 만든다
      • 질문에서 몰입이 시작된다

      슬라이드 ⑤

      [변5] 리더십은 혁신보다 ‘공감 혁신’이 먼저다
      → 전략보다 먼저 감정을 듣는 리더십

      • 공감 없는 계획은 밀어붙이는 전략이 된다
      • 감정 설계 없이 혁신은 작동하지 않는다
      • 감정 언어는 변화의 시작점이다

      슬라이드 ⑥

      [변6] 영감·신뢰·배려 – 변혁형 리더십의 3요소
      → 사람은 구조보다 감정으로 움직인다

      • 영감은 태도에서, 신뢰는 반복에서, 배려는 공감에서 온다
      • 개별적인 감정 피드백이 리더십을 구성한다
      • 존재에서 동기가 생기고, 관계에서 몰입이 이어진다

      슬라이드 ⑦

      [변7] 변혁형 vs 서번트형, 당신의 팀에 필요한 리더십은?
      → 리더십은 고정된 성격이 아니라 전략이다

      • 변혁형은 방향과 몰입을, 서번트형은 회복과 신뢰를 설계한다
      • 팀의 피로도와 리듬에 따라 리더십이 조율되어야 한다
      • 지금 우리 팀이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인가?

      슬라이드 ⑧

      [변8] 낡은 루틴을 깨는 건 지시가 아니라 질문이다
      → 루틴은 질문이 있는 곳에서만 바뀐다

      • “왜 이 방식을 계속 쓰고 있지?”
      • 작은 실험 하나가 흐름을 바꾼다
      • 질문은 관성을 깨는 리더의 가장 강한 도구이다

      슬라이드 ⑨

      [변9] 팀이 변화에 ‘반응’하는가, ‘반발’하는가?
      → 침묵은 반발일 수 있다. 감정을 읽어야 한다

      • 변화는 말보다 분위기로 전달된다
      • “좋아요”라는 말보다, 표정과 에너지의 반응을 살펴라
      • 말 없는 저항에 귀 기울이는 리더가 변화를 완성한다

       

       


      2. [리더 진단 체크리스트 – 감정 기반 리더십 완성 점검]

      • □ 방향을 말하기 전에 감정을 먼저 읽는다
      • □ 변화 전에 감정 저항 가능성을 감지한다
      • □ 반복된 메시지를 새로운 감정 언어로 바꾼 적 있다
      • □ 피드백보다 몰입 구조를 먼저 설계하려 한다
      • □ 비전은 말이 아니라 경험이라 인식하고 있다
      • □ 나의 리더십에는 영감·신뢰·배려의 흐름이 있다
      • □ 리더십 유형을 상황에 따라 조율한다
      • □ 루틴을 뒤흔드는 질문을 실천한 경험이 있다
      • □ 침묵 속 반응을 놓치지 않는다

      7개 이상 체크 시: 감정 기반 리더십이 구조화되어 작동 중입니다


      3. [워크시트 – 나의 리더십 정리와 실천 선언]

      1. 가장 기억에 남는 문장 한 줄은?
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      2. 최근 ‘감정 설계가 부족했다’고 느낀 장면은?
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      3. 다음 회의나 피드백에서 실천하고 싶은 한 문장?
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       

      4. 실천 루틴 중 하나를 골라 적어보세요
      □ 회의 전 팀 감정 흐름 점검
      □ 피드백에 감정 질문 한 줄 넣기
      □ 몰입을 위한 ‘감정 예시’ 먼저 공유하기
      → 내가 선택한 루틴: _________________________


      4.마무리 

      리더는 말을 많이 하지 않아도 됩니다.
      하지만 팀은 언제나 리더의 감정 리듬을 따라 움직입니다.

      몰입은 설득이 아닙니다.
      그건 질문, 공감, 반복된 리듬이 만드는 정서적 설계입니다.

      당신이 그 흐름을 만들기 시작했다면,
      이 시리즈는 콘텐츠를 넘어
      당신의 리더십 전략이 되었을 겁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