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가스토리

리더십과 브랜드 전략, 그리고 소소한 일상 루틴까지. 지식과 삶이 만나는 곳, 라가스토리입니다.

  • 2025. 3. 25.

    by. 라가노트

    목차


      통제를 줄이면 창의성이 올라갈까요?

      방임형 리더는 간섭을 피하지만, 그 침묵이 오히려 팀을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.
      창의는 자율보다 감정적 안전감 속에서 시작됩니다.

       

      “자율을 주면 창의력이 생긴다.”

      “간섭은 팀을 위축시킨다.”

      많은 리더들이 그렇게 말합니다.
      그래서 말하지 않기로 하죠.
      자율을 주겠다고 선언합니다.

      하지만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?

      • 방향은 없었고,
      • 피드백은 멈췄으며,
      • 팀은 아무것도 시도하지 못했습니다.

      자율은 있었지만, 안정감은 없었습니다.
      창의성은, 그렇게 사라졌습니다.

       

      창의성은 통제가 없을 때 생기는 걸까요?
      절반만 맞는 말입니다.
      자율은 창의의 조건일 수 있지만,
      그 안에 ‘감정적 안전감’이 없다면, 창의는 움츠러듭니다.

      창의성이 사라지는 3가지 순간

      1. 기준이 없는 자율

      → 시도는 가능했지만, 판단 기준이 없어 망설입니다.
      → “이렇게 해도 되는 건가요?”라는 불안이 시작됩니다.

       

      2. 피드백 없는 과정

      → 무엇이 괜찮았는지, 무엇을 더 해봐야 하는지 모릅니다.
      → 결국 멈추게 됩니다.

       

      3. 실패에 대한 맥락 부재

      → 잘못된 선택의 결과가 개인 책임으로 남을 때,
      → 시도보다 회피가 늘어납니다.

       

      창의는 통제의 부재가 아니라, 감정적 보호 속에서 자랍니다.


      리더는 간섭하지 않아야 할까요?

      그보다 중요한 건
      “지켜보고 있다는 신호”를 주는 일입니다.

      • “시도해보세요. 중간에 같이 확인하죠.”
      • “피드백은 천천히 줄게요. 이건 실험이니까요.”
      • “실패해도 괜찮아요. 흐름을 보고 있어요.”

      이 말들이
      팀에게 ‘감정적 안전지대’를 만들어줍니다.


      창의적 팀을 위한 리더의 설계 조건

      • 기준은 느슨하게, 감정 연결은 단단하게
      • 결과보다 ‘시도의 태도’에 먼저 반응
      • 빠른 피드백보다 ‘지속적인 존재감’ 설계

      창의는 자유보다
      “지켜보는 리더가 있다”는 감정에서 피어납니다.


      리더 진단 체크리스트 – 창의 리더십 오해 점검

      • □ 창의성을 위해 개입을 줄인 적 있다
      • □ 기준 없이 자율을 준 경험이 있다
      • □ 실험이 많았지만, 흐름이 정리되지 않았다
      • □ 실패에 대한 감정 피드백을 생략한 적 있다
      • □ 구성원이 “리더 반응이 없어요”라고 말한 적 있다
      • □ 팀이 실험보다 안전한 선택만 반복하고 있다
      • □ 자율 이후 창의성이 오히려 줄었다는 평가를 받은 적 있다

       

      → 5개 이상 해당 시: 창의 기반의 감정 설계와 피드백 구조 점검이 필요합니다.


      워크시트 – 내가 창의를 방임으로 오해했던 순간은?

      • 최근 자율을 줬지만 창의성이 낮았던 업무는?
  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      • 그때 내가 빠뜨린 리더십 구조는?
        → □ 기준 제시 □ 감정 피드백 □ 실험 맥락 설명
      • 다음 창의 과제에서 내가 넣어야 할 말 한 줄은?
        →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      실천 루틴 선택지

      • □ “이 시도,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해주세요” 말해보기
      • □ 창의 업무 중간에 “지금 어떤 느낌인가요?” 묻기
      • □ 실패 피드백 대신 “처음 시도한 거라 괜찮아요” 말해주기

       

      → 오늘 내가 실천할 루틴: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

      마무리 

      창의는,
      통제를 줄였다고 생기지 않습니다.
      감정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때 자랍니다.

      방임형 리더는 말하지 않지만,
      창의적 리더는 ‘함께 있는 리듬’을 설계합니다.

      간섭보다 연결.
      결과보다 시도.
      그게 창의가 피어나는 리더십입니다.